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하고 나서 앞으로 좀더 블로그 운영을 계속해나가려면 미리 웹사이트 분석을 위한 설정을 해두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던 중 마침 구글 애널리틱스에 대해 공부해보고 싶기도 하였고, 이참에 GA4를 직접 사용해보면 좋을 것 같아 Google Analytics 계정을 생성하고 이를 티스토리 블로그와 연결하기로 하였다.
1. 구글 애널리틱스 가입 링크 in 티스토리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에 들어가서 화면을 내리면 좌측 메뉴에 [플러그인] 메뉴가 존재한다.
이를 클릭하고 우측의 플러그인 항목들 중에서 [구글 애널리틱스] 항목을 선택하면 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구글애널리틱스 플러그인을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는 창이 뜨는데,
하단 이미지에 표시한 [설정 방법]의 [설정하러 가기] 버튼을 클릭하면 구글 애널리틱스 가입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2. 애널리틱스 계정 생성하기
가입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정 세부정보를 입력하는 란에 계정 이름을 입력하고,
하단의 계정 데이터 공유 설정을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는 모든 항목을 체크하고 [다음]을 눌러주었다.
다음 단계로는 속성을 만들어야 하는데, 나는 속성에 내가 연결하고자 하는 티스토리 블로그 이름을 입력해주었다.
그리고 보고 시간대를 미국 -> 대한민국으로 변경해주고,
통화 역시 '대한민국 원'으로 변경해주었다.
3번과 4번의 [비즈니스 세부정보]와 [비즈니스 목표]는 각자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작성해주면 된다.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가 아니라 구글 애널리틱스 설문 수집 목적인 것으로 보임)
나는 개인 블로그의 접속 정보를 분석해보고, GA4를 사용&공부하려는 목적이라 '취업 및 교육' 카테고리를 선택해 주었고, 비즈니스 규모와 목표도 다음 이미지와 같이 선택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만들기]를 클릭해주면 다음과 같이 약관 계약 창이 뜨고,
해당 국가를 '대한민국'으로, 아래 두 가지 약관에 대한 동의 체크박스를 채워주면 완료된다.
제일 마지막 단계로 [데이터 수집 시작하기] 단계에서는, 나는 블로그 웹사이트와 연결하기를 원하기에 [웹]을 선택했다.
연결할 웹사이트 URL을 해당 입력란에 입력해주고 스트림 이름(웹사이트 이름)으로 입력해주면 된다.
(계정 생성 완료된 상태의 애널리틱스 홈)
위 이미지와 같이 화면이 뜬다면 이제 계정 생성을 위해 설정해야 하는 것들은 모두 끝이 났다.
3. 티스토리 블로그와 연결하기
이제 만든 계정의 측정 ID를 복사해, 처음에 애널리틱스 가입 링크가 있었던 [플러그인] - [구글 애널리틱스] 플러그인 창의 측정 ID 란에 입력해주면, 티스토리 블로그와 연결이 완료된다!
측정 ID는 위 [홈] 화면에서 모자이크 해둔 부분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관리] - [데이터 수집 및 수정]의 [데이터 스트림]에 들어가서도 만든 '웹 스트림 세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세부정보 중 측정ID를 복사해 처음에 계정 개설 링크를 확인했던 창의 ID입력 칸에 입력하면 된다.
다음과 같이 구글 애널리틱스 플러그인이 '사용중'이라고 뜨게 되면 연결이 완료된 것이다.
4. Google 태그 설정하기
블로그와 연결을 완료했다면, 이제 마지막으로 구글 태그 설정을 해주면 데이터가 구글 애널리틱스에 수집된다.
위 [3. 티스토리와 블로그 연결하기]에서 측정ID를 확인했던 '웹 스트림 세부정보'에 다시 접속해보자. 여기서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연결된 사이트 태그 관리]라는 항목이 있다.
이를 클릭하면 오른쪽과 같이 태그ID를 입력하는 창이 뜬다.
위 칸에 입력해야 하는 태그ID는 구글 태그관리자 사이트에 들어가서 찾을 수 있다.
애널리틱스 페이지 우측 상단의 점 네개 '메뉴'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태그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Google 태그] 목록에서 해당하는 태그 이름의 태그 ID를 확인하고 이를 위 태그ID 입력란에 입력해주면 다음 화면과 같이 '1개 연결됨'으로 변하게 된다.
다음으로 방금 들어갔던 '연결된 사이트 태그 관리' 아래의 [태그 안내 보기]를 클릭하고 아래와 같이 설치 안내 창을 띄워준다.
설치 안내 창의 '직접 설치' 항목에는 해당 계정의 Google 태그가 있다. 이 태그를 잘 복사해준 뒤,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 좌측 메뉴에서 [꾸미기]의 [스킨 편집]에 들어가 [html 편집]을 눌러준 뒤,
<head> 요소 바로 다음에 입력해주면 된다.
5. 연결 완료
이제 해야하는 모든 설정이 끝났다.
이 설정들이 적용되어 데이터가 수집되기까지는 몇 시간 정도 소요된다고 하며, 48시간 뒤에도 수집이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에는 설정을 다시 확인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한다.
앞으로 티스토리를 꾸준히 쓰면서 GA4로 유입 정보를 세부적으로 확인하고, 사용자 동향이나 페이지 성과 등을 측정해보며 활용해보고자 한다!
'BUSI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 *티스토리 구글 애널리틱스 플러그인 해제* (15) | 2024.09.30 |
---|